728x90
반응형
🧭 클럭 싸이클이란?
CPU는 컴퓨터 안에서 무언가를 계산하거나 판단하거나 옮기는 일을 정말 빠르게 반복해요.
그런데 이걸 완전 아무렇게나 하는 게 아니라, ‘박자’나 ‘템포’를 맞춰서 움직여요.
그 박자 한 번이 바로 클럭 싸이클(clock cycle) 이에요.
🎵 비유로 설명
CPU를 마치 드럼치는 연주자라고 생각해 보세요:
- CPU가 드럼을 "쿵, 쿵, 쿵" 두드릴 때,
- 한 번 "쿵" 두드리는 그 순간이 바로 클럭 싸이클이에요.
- 초당 "쿵"을 몇 번 치느냐가 클럭 주파수(GHz)
예를 들어 2.6GHz라면,
- 1초에 "쿵"을 26억 번 치는 거예요!
- 그럼 CPU가 1초에 26억 번 무언가를 할 수 있는 ‘타이밍’을 갖게 되는 거죠.
🛠 왜 중요하냐면…
CPU가 이 박자(클럭 싸이클)에 맞춰서
- 명령어를 불러오고
- 계산하고
- 메모리에서 읽고/쓰고
- 결과를 내고
등의 과정을 ‘순서대로’ 진행해요.
박자가 빠르면(클럭이 높으면)
-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음 → CPU가 더 빠르다고 느껴짐
✅ 진짜 한 줄 요약
클럭 싸이클 = CPU가 “할 일 하나하나”를 처리하기 위해 맞춰서 움직이는 초고속 박자!
클럭 주파수(GHz)는 이 박자를 1초에 몇 번 치느냐를 뜻함.
728x90
반응형
'IT 인터넷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래픽 이란? 트래픽 터졌을 때 해결 방법 (4) | 2025.07.14 |
---|---|
공유기 유선 WAN → LAN 처리 속도 알 수 있는 방법 (0) | 2025.07.14 |
라우팅 테이블 이란? 넷마스크, 게이트웨이, 인터페이스, 메트릭 용어와 예시 (0) | 2025.07.14 |
라우팅 이란? 정적 라우팅 vs 동적 라우팅 차이점 비교 (1) | 2025.07.14 |
CPU 클럭(GHz) vs 인터넷 대역폭(Mbps, Gbps) 차이점 (2) | 2025.07.12 |
버퍼블로우 란? 핑 증가 현상과 해결 방법 (3) | 2025.07.12 |
공유기 vs 라우터 vs 스위치 차이점 비교: 다 따로 사야 하는가? (3) | 2025.07.12 |
RTT 란? RTT 줄이는 방법과 Jitter/대역폭과의 차이점 비교 (2) | 2025.07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