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245

지연 시간(latency) 기준:: 서울 vs 부산 ping 차이:: 백본망 개념 “지연시간(latency) 13ms”가 많은지 적은지는 어떤 상황에서 측정했는지에 따라 다르게 봐야 합니다.1️⃣ 기준부터 잡기1ms 이하 : 사실상 같은 건물, 같은 네트워크(예: 같은 IDC 센터 내 서버)1~10ms : 같은 도시, 같은 ISP 내에서 측정할 때 흔히 나오는 값10~30ms : 국내 다른 지역 간 통신 (예: 서울 ↔ 부산)30~80ms : 아시아 근처 해외 서버 (예: 한국 ↔ 일본/홍콩)100ms 이상 : 미주/유럽 서버200ms 이상 : 원거리 해외, 위성 인터넷2️⃣ 13ms라면?국내 서버를 대상으로 측정했다면 → 살짝 높은 편이지만 정상 범위 안서울에서 KT, SK, LGU+ 등 국내 속도 측정 서버 → 보통 2~10ms지역에 따라 10ms대 나올 수도 있음 (예: 지방 →.. 2025. 9. 2.
Latency = 핑 =UDP 지연시간 ? / ICMP 프로토콜 이란? 👍 헷갈릴 만한 부분인데,인터넷 속도 측정에서 쓰이는 응답속도(Latency), 핑(Ping), UDP 지연시간은비슷하게 쓰이지만 정확히는 조금씩 다른 개념입니다. 하나씩 정리해 드릴게요.1️⃣ Latency (지연시간)넓은 의미의 지연시간데이터가 내 컴퓨터 → 목적지 서버 → 다시 내 컴퓨터로 돌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(RTT, Round Trip Time)단위: ms (밀리초)속도 측정 결과에서 “응답속도”라고 표기되는 경우가 많음2️⃣ Ping (핑)네트워크 테스트 도구 이름에서 유래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 패킷을 보내고 응답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 → RTT(왕복 시간) 확인요즘은 속도 측정 사이트에서도 편의상 “핑(Ping)” = “응답속도(Late.. 2025. 9. 2.
TCP & UDP & TCP/IP UDP와 TC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전송 프로토콜인데,역할과 특성이 달라서 상황에 따라 선택됩니다.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할게요.1️⃣ TC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특징: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주요 특징연결 지향(Connection-oriented)통신 시작 전에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먼저 수립예: 집 → 서버 “안녕하세요, 연결할게요” → 서버 “좋아요, 연결 확인”신뢰성 보장데이터가 손실되면 재전송순서가 섞이면 원래 순서대로 재정렬흐름 제어/혼잡 제어네트워크 혼잡 시 속도 조절 → 패킷 손실 최소화사용 예시웹 페이지 접속 (HTTP/HTTPS)이메일 전송 (SMTP, IMAP)파일 전송 (FTP)2️⃣ UDP (User Datagram P.. 2025. 9. 2.
DNS 서버 IP vs DNS 서버가 반환한 서버 IP 1️⃣ 도메인과 실제 IP는 다를 수 있음google.com 같은 도메인을 traceroute에서 입력하면, DNS 조회를 통해 현재 접속 가능한 Google 서버의 IP를 가져옵니다.Google은 전 세계에 수많은 서버와 CDN 노드가 있음 → 어느 서버로 연결될지는 사용자 위치, 트래픽, 로드 밸런싱에 따라 달라집니다.2️⃣ 142.250.206.206 은 무엇인가?이 IP는 Google의 실제 서버 IP 중 하나입니다.즉, traceroute에서 뜨는 마지막 IP = DNS가 반환한 서버 IP, 항상 8.8.8.8/8.8.4.4일 필요 없음Google은 CDN 및 여러 서버를 운영하므로, google.com을 traceroute하면 가까운 데이터센터 또는 로드 밸런서 노드로 연결됩니다.3️⃣ Goo.. 2025. 9. 2.
인터넷 속도 측정 시:: 경로추적 (Hop) 경로 추적 6 HopHOPHOST (IP Address)지연 시간1***.119.***.12.00ms2***.174.***.611.00ms3*0.00ms4***.174.***.2541.00ms5***.20.***.522.00ms Traceroute에서 IP가 가려져 있거나 *로 표시되면,그 구간이 실제로 어느 라우터/지역/ISP인지 정확히 알 수 없고,따라서 지연 시간(RTT)이 높다고 해도 어느 구간에서 병목이 발생했는지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습니다.🔎 상황 정리IP/호스트가 명확히 표시되는 HopRTT(지연 시간) 비교 가능어느 ISP, 어느 도시/국가 구간에서 느려지는지 대략 추정 가능IP가 가려진 Hop (***.***.***.1)RTT가 표시되더라도 누가 보낸 응답인지 모름국내망인지, 해외망인.. 2025. 9. 2.
인터넷 속도 측정 시 항목들:: 다운로드 / 업로드 / 응답속도(UDP) / 경로추적 인터넷 속도 측정 시 자주 나오는 지표인다운로드, 업로드, 응답속도(지연 시간/Latency, UDP), 경로추적(Hop) 각각을 정리해드릴게요.📡 1. 다운로드 속도 (Download Speed)정의: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내 컴퓨터로 받는 속도. (보통 Mbps 단위)예시: 유튜브 영상 시청, 웹사이트 열기, 파일 다운로드.특징: 일반적인 가정/회사 인터넷 사용에서 가장 체감이 큼.중요성: 영상 스트리밍, 게임 업데이트, 파일 다운로드 속도 결정.📤 2. 업로드 속도 (Upload Speed)정의: 내 컴퓨터에서 인터넷으로 데이터를 올리는 속도. (Mbps 단위)예시: 사진/동영상 SNS 업로드, 클라우드 백업, 화상회의에서 내 화면 전송.특징: 대부분의 인터넷 상품은 다운로드보다 업로드 속도가 낮.. 2025. 9. 2.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