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 인터넷

이더넷 Ethernet 이란? 10 기가 이더넷이 필요할까

by 로맨틱스터디 2025. 6. 21.
728x90
반응형

컴퓨터와 인터넷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(=유선인터넷)

 

이더넷 구성

인터넷 회선 (KT, LG, SK)

        ↓

공유기 (와이파이도 여기서 나옴)

        ↓

[이더넷 케이블 (LAN선)]

        ↓

내 컴퓨터 / 노트북 (랜포트 필요)

 

이더넷 vs 와이파이 차이점

항목 이더넷(유선) 와이파이(무선)
연결 방식 LAN선으로 직접 연결 무선 신호로 연결
속도 더 빠르고 안정적 간섭에 민감하고 가변적
지연 시간 (ping) ✅ 낮음 ❌ 높음 (끊김, 딜레이 발생 가능)
안정성 ✅ 뛰어남 ❌ 간섭 있음 (전자레인지, 벽 등)

 


이더넷 종류

기준

분류 기준 예시
1. 속도/규격 Fast Ethernet, Gigabit Ethernet, 10G Ethernet 등
2. 케이블 종류 UTP, STP, 광섬유 등
3. 물리적 인터페이스 RJ45, SFP, QSFP 등

 

1. 속도/세대 기준 종류

속도 차이에 따라 사용처가 다름

명칭 속도 설명
Fast Ethernet 100Mbps 예전 가정/사무실 표준
Gigabit Ethernet 1Gbps 대부분의 PC/공유기 기본 지원
2.5G/5G Ethernet 2.5Gbps / 5Gbps 고급 NAS/게이밍용
10G Ethernet 10Gbps 전문가용, 서버, 고성능 네트워크
40G/100G Ethernet 40Gbps / 100Gbps 대형 데이터센터, 통신사 백본망

💡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는 **1Gbps(기가비트)**면 충분하지만,

게이밍/10G 인터넷 사용자2.5G 이상도 고려 가능

 

2. 케이블 기준 종류 (구리/광섬유)

CAT6a~8 → 고속용 / 광섬유는 전문가용

케이블 종류 설명 주로 쓰이는 이더넷
UTP (Unshielded Twisted Pair) 일반적인 랜선, 저렴 CAT5e, CAT6 등
STP (Shielded Twisted Pair) 차폐 처리로 간섭 적음 CAT6a, CAT7 이상
광섬유 (Fiber Optic) 빛으로 신호 전달, 초고속/장거리 10G~100G 전용

대부분 가정/사무실은 UTP (CAT6) 케이블을 사용

 

3. 단자/포트 인터페이스 기준 종류

포트 종류 설명 사용 예
RJ45 가장 흔한 인터넷 포트(사각형) 모든 PC, 공유기, 노트북
SFP/SFP+ 광케이블용 모듈 서버, 스위치, 10G 이상
QSFP 40G~100G용 포트 통신사 백본, 데이터센터

⚠️ 대부분의 가정용 공유기와 PC는 RJ45 포트를 사용


* 내 컴퓨터 이더넷 속도/종류 확인 방법

 

📍 Windows에서 확인 (현재 연결 속도 확인)

1) [네트워크 연결] 열기

         [1번방법] 제어판 >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> 어댑터 설정 변경

         [2번방법] windows + R - ncpa.cpl 입력 -> 엔터

2) 연결된 이더넷 더블클릭

3) 연결 > 속도 항목 확인

표시 속도 추정 이더넷 종류
100Mbps Fast Ethernet(구형)
1.0Gbps Gigabit Ethernet(일반 가정/사무실용)
2.5Gbps / 5Gbps 멀티기가비트 장비
10Gbps 서버용, 전문가용 장비

 

📍 PC 네트워크 카드 사양 확인 (고급)

 

1) 작업관리자 [Ctrl+Shift+Esc] → 성능 탭 → 이더넷

2) 오른쪽 아래에 “어댑터 이름” 확인 (예: Intel I219-V, Realtek PCIe GBE 등)

3) 이 어댑터 이름으로 구글 검색 → 해당 칩셋이 지원하는 최대 속도 확인 가능

     > 내 경우에는 Realtek PCle GbE Family Controller라고 떴다


10 기가 이더넷이란?

 

  • 최대 10Gbps (초당 약 1250MB) 속도로 데이터 전송
  • 일반 기가비트(1Gbps)의 10배 속도
  • 주로 기업/서버/데이터센터 등에서 사용
  •  

🏡 가정에서 10기가 이더넷이 "필요 없는" 이유

이유 설명
💡 대부분의 인터넷 회선이 1Gbps 이하 KT, SK, LG 대부분 가정용 회선은 1Gbps (일부 지역만 2.5G~10G)
🧩 장비 호환성이 낮음 10G를 쓰려면 공유기, 랜카드, 케이블, 스위치 모두 지원해야 함 (비용 ↑)
🎮 체감 속도 차이 적음 웹서핑, 영상 스트리밍, 게임 등은 1Gbps도 충분
💰 비용 부담 큼 공유기 + 랜카드 + 케이블만 해도 수십만 원 필요

하지만 아래 상황이라면 "고려해볼 가치 있음"

조건 설명
📁 NAS(네트워크 저장소)를 자주 씀 영상 편집, 4K 이상 고용량 작업 시 매우 유리
🖥️ 여러 PC 간 대용량 파일 전송 많음 10G로 내부 전송 속도 극적으로 향상
📶 KT 10기가 인터넷 회선을 실제로 사용 중 회선 비용을 내고 있다면 활용할 장비도 갖추는 게 효율적
📦 스트리밍 서버를 집에서 운영 방송 송출/파일 공유 시 업로드 속도 중요

💸 가정용 10기가 구축 시 예상 비용

항목 제품 예시 가격대
10G 공유기 ASUS RT-AX89X, QNAP QHora-301W 25만~50만 원
10G 랜카드 Intel X550-T1, Aquantia AQtion AQC107 10만~20만 원
CAT6a/CAT7 랜선 유그린, 넥시 등 1만 원 내외
10G 지원 NAS/스위치 (선택) Synology DS923+, Netgear XS505M 등 30만~80만 원+

💡 대안: 2.5 기가 이더넷

  • 1G보다 빠르면서도 10G만큼 부담되지 않음
  • 일부 메인보드, 공유기, 랜카드에서 지원
  • 가성비 좋은 고속 내부 네트워크 구축 가능

 

728x90
반응형